[보고서]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9 00:47
본문
Download : [레포트]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hwp
그 후, 연구자들은 Race와 Strains가 나비목, 딱정벌레목 또는 벌목에서보다 노린재목(특히 진딧물, 멸구, planthoppers 등)에서 더 일반적인 것을 인식했다.
1. 생물형(Biotype)의 정이
Biotype는 Painter(1951)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써 개체군의 일종으로 각 개체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유전자형을 갖는 집단을 의미하였으나, 현재는 개체군 또는 개체들로 구성된 생물학적 특성(特性)에 의해 서로 다른 집단들과 구별되어질 수 있을 때 이것을 총체적으로 생물형(Biotype)이라고 한다. 1970년까지 생물형은 농업작물에 영향을 끼치는 해충의 8종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었…(To be continued )
[보고서]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1.gif)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2.gif)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3.gif)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4.gif)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5.gif)
![[레포트]%20해충분류학%20생물형과%20생태형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B4%EC%B6%A9%EB%B6%84%EB%A5%98%ED%95%99%20%EC%83%9D%EB%AC%BC%ED%98%95%EA%B3%BC%20%EC%83%9D%ED%83%9C%ED%98%95_hwp_06.gif)
레포트/자연과학
다.
Download : [레포트]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hwp( 16 )
[레포트]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 , [레포트]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자연과학레포트 , 레포트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
[보고서] 해충분류학 생물형과 생태형
레포트,해충분류학,생물형과,생태형,자연과학,레포트
순서
설명
곤충의 종 하위 분류군
-생물형(biotype)과 생태형(ecotype)-
응용생물화학과
2009049191 황재왕
▷ 분류학은 모든 생물적 연구의 기초가 되고 또 생물다양성의 기원을 연구하는 가장 포괄적인 학문이다. 생물학적 특성(特性)이란 기주 선호도, 산란, 살충제 저항성, 발육상태, 분산 이주 경향, 질병 매개능력, 페로몬 등의 정보 화학 물질의 차이, 계절적 또는 일주기 활동성향, 체색, 체구의 크기 및 모양 등 여러 요인을 말한다.1930년 Painter가 겨울밀의 저항성 종들에 밀혹파리의 생물학적 종의 존재를 발견했다. 분류학에 있어서 분류의 단위와 체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1907년 Biffen이 작물에서 병저항성의 유전적 근거를 발표했다. 그러나 종 하위군에 대한 개념(槪念)은 그 한계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학자들 나름대로 편의성에 따라 임의로 쓰고 있는 사정이다. 여러 종 하위군 중에서는 아종(Subspecies)만이 公式(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따 종 하위분류군 중에 여러 특성(特性)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생물형(Biotype)과 생태형(Ecotype)의 정이와 예를 들어본다. 하지만 이 발견의 9년 안에 이 저항성의 안정성이 다양해진 해충에 의해 위협을 받았다. 현재 생물학에서 쓰이는 분류의 단위는 크게 계, 문, 강, 목, 과, 속, 종이다.